맨위로가기

전설 모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설 모음은 혀의 앞부분이 입천장 쪽으로 올라가면서 발음되는 모음을 의미한다. 한국어의 'ㅣ', 'ㅔ', 'ㅐ', 'ㅟ', 'ㅚ' 등이 전설 모음에 해당하며, 국제 음성 기호(IPA)에는 [i], [y], [e], [ø], [ɛ], [œ], [æ], [a], [ɶ] 등이 전설 모음으로 분류된다. 전설 모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나뉘며, 선행 자음에 영향을 주어 자음의 발음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전설 모음 /i/는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음소이며, /œ/는 가장 드물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운론 - 성조
    성조는 음절의 높낮이 변화로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 현상으로,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 등에서 나타나며, 단계성조, 곡선성조, 단어성조 등으로 분류되고 성조 변화, 성조 테라싱, 부유 톤 등의 현상을 보이며 다양한 표기법이 사용된다.
  • 음운론 - 보상적 장음화
    보상적 장음화는 자음 탈락으로 인해 앞선 모음이 장음으로 변하는 음운 현상이다.
  • 모음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모음 - 비모음
    비음화는 모음 발음 시 비강 공명이 더해지는 음운 현상으로, 모음 높이에 영향을 주며 언어에 따라 적용 범위와 정도가 다르고, 프랑스어 비음 모음의 발달 과정은 구강 모음과 비음 자음 결합 후 비음 자음 탈락으로 설명되며,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외국어 표기에 'ㅇ' 받침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예외도 있다.
전설 모음
개요
종류모음
조음 위치전설 모음
관련문화어: 앞모음
전설 모음의 종류
고모음/i/, /y/
중고모음/e/, /ø/
중모음/e̞/, /ø̞/
중저모음/ɛ/, /œ/
저모음/æ/, /ɶ/, /a/

2. 한국어의 전설 모음

한국어의 전설 모음
평순 모음원순 모음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3. 국제 음성 기호 (IPA)

국제 음성 기호에서 전설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는 다음과 같다:

'''IPA 전용 기호가 있는 전설 모음'''

IPA 전용 기호가 있는 전설 모음
높이비원순원순
고모음[i] (비원순 전설 고모음)[y] (원순 전설 고모음)
근고모음[ɪ] (비원순 전설 근고모음)[ʏ] (원순 전설 근고모음)
중고모음[e] (비원순 전설 중고모음)[ø] (원순 전설 중고모음)
중저모음[ɛ] (비원순 전설 중저모음)[œ] (원순 전설 중저모음)
근개모음[æ] (전설 근개모음)
개모음[a] (비원순 전설 개모음)[ɶ] (원순 전설 개모음)



'''IPA 전용 기호가 없는 전설 모음'''

IPA에 전용 기호가 없는 전설 모음도 있으며, 이들은 기존 기호에 발음 구별 기호를 붙여 표기한다.


  • 원순화된 고모음/근고모음/중고모음: [yʷ], [ʏʷ], [øʷ]
  • 중모음: [e̞] (또는 [ɛ̝]), [ø̞] (또는 [œ̝])
  • 원순화된 중모음/중저모음: [ø̞ʷ] (또는 [œ̝ʷ]), [œʷ]


다른 전설 모음들도 상대 조음의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하여 인접한 모음 기호에 적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원순 전설 중모음은 [e] 기호 아래에 낮춤 기호를 붙인 [e̞]나, [ɛ] 기호 아래에 높임 기호를 붙인 [ɛ̝]로 표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원순 전설 근고모음은 [i̞], [e̝] 또는 [ɪ̟] 등으로 표기될 수 있다.

4. 조음 위치

전설 모음은 모음 공간의 세 가지 조음 차원 중 하나이다. 전형적인 전설 모음은 [i]이다. 차트에서 그 아래는 턱이 열린 전설 모음이다.


조음 시 혀가 휴식 위치에서 앞으로 움직이는 모음을 전설 모음이라고 하며, 이는 고설 모음 및 후설 모음과 대조된다. 이러한 개념에서 전설 모음은 국제 음성 기호(IPA) 차트에 나열된 모음보다 더 넓은 범주를 포함하는데, [ɪ ʏ], [ɨ ʉ] 및 일부 중설 모음까지 포함할 수 있다. 전설 모음 내에서 모음의 높이(개모음 또는 폐모음)는 혀의 직접적인 움직임보다는 턱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음운론적으로는 고설 모음이나 후설 모음이라도, 특정 자음 옆에서는 음성적으로 전설 모음처럼 발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개음이나 일부 언어의 인두음과 같은 자음이 뒤따를 때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한 예로, 음소 /a/는 [j] 또는 [ħ]와 같은 소리 옆에서 [æ]로 전설 모음화될 수 있다.[2]

5. 선행 자음에 미치는 영향

많은 언어의 역사에서, 예를 들어 프랑스어와 일본어에서 전설 모음은 선행하는 연구개 자음 또는 치경 자음을 변화시켜 그들의 조음 위치를 구개음 자음 또는 후치경음으로 이동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구개음화라고 하며, 이음 변이일 수도 있고, 또는 음소가 되었을 수도 있다.

이러한 역사적 구개음화는 몇몇 유럽 언어의 철자법에 반영되어 있는데, 거의 모든 로망스어군의 c와 g,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페로어아이슬란드어의 k와 g, 그리고 현대 그리스어의 κ, γ와 χ가 그것이다. 영어는 프랑스어 패턴을 따르지만, 그다지 규칙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구개음화의 영향을 받은 고유어 또는 초기에 차용된 단어의 경우, 영어는 일반적으로 발음을 따라 철자를 변경했다(예: /k/에서 유래한 ''cheap, church, cheese, churn'', 그리고 /ɡ/에서 유래한 ''yell, yarn, yearn, yeast''가 있다).

언어자음후설 모음 앞: 경음전설 모음 앞: 연음
영어Ccallcell
Ggallgel
프랑스어CCalaiscela
Ggaregel
그리스어Γγάιδαροςγη
ΧΧανιάχαίρετε
이탈리아어Ccarocittà
Ggattogente
SCscusapesce
일본어Ssūdokushiitake
Tatatakaidotchi
스웨덴어Kkartakär
Ggodgöra
SKskalskälla


6. 빈도

PHOIBLE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i/는 가장 흔한 음소 전설 모음으로, 조사된 언어의 음소 목록 중 약 92%에 나타난다. 반면 /œ/는 가장 드물게 나타나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언어 중 단 하나의 음소 목록에서만 발견된다.[3]

전설 모음의 빈도[3]
모음%
/i/92
/a/88
/e/61
/ɛ/37
/ɪ/15
/æ/7
/y/6
/ø/3
/œ/3
/ʏ/1
/ɶ/0


  • PHOIBLE에 나열된 음운 목록 중, /ɶ/는 북알타이어에만 나타난다.

참조

[1] 서적 The Poetic Mode of Speech Perception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1992-02
[2] 간행물 The Epilaryngeal Articulator: A New Conceptual Tool for Understanding Lingual-Laryngeal Contrasts https://www.mcgill.c[...] 2012
[3] 서적 PHOIBLE 2.0 https://phoible.org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